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원금 3천만원을 투자해서 6천만원이 된 상황으로 예를 들겠습니다. 목돈이 필요해서
원금 3천만원을 투자해서 6천만원이 된 상황으로 예를 들겠습니다. 목돈이 필요해서 원금 + 공제가 되는 250만원 즉 3250만원만 매도하면 과세가 안되는건가요? 아니면 3250에서 250을 뺀 3천의 22프로가 과세되는건가요?별개로 목돈이 필요해서 많은 돈을 뽑아야 하는 상황일때 가장 유리한 방법은 뭔가요?
좋은 질문이에요!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는 헷갈리기 쉬운 구조라서, 예시를 기준으로 정확히 설명드릴게요.
질문 요약
- 투자 원금: 3,000만 원
- 현재 평가금액: 6,000만 원
- 매도 예정 금액: 3,250만 원
- 질문: 이 경우 세금이 발생하는가?
✅ 1.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계산 구조 (2025년 기준)
- 양도차익 = 매도가액 – 취득가액 – 필요경비
- 기본공제 250만 원 적용
- 과세 대상 금액 = 양도차익 – 250만 원
- 세율: 22% (소득세 20% + 지방세 2%)
질문자님의 경우
- 3,250만 원 매도 시,
→ 매도한 주식의 원금은 3,000만 원 중 일부
→ 수익이 포함된 매도액이므로 양도차익이 일부 포함됩니다
하지만!
양도차익이 250만 원 이하라면 세금은 0원입니다.
즉, 매도한 주식의 실제 취득가액이 3,000만 원 이하이고,
양도차익이 250만 원 이하라면 과세되지 않습니다.
→ 3250만 원 – 3,000만 원 = 250만 원 차익 → 세금 없음
정답: 과세되지 않습니다.
주의할 점
- 매도한 주식이 원금 일부가 아니라 수익률 높은 종목 위주로 매도되었다면
→ 양도차익이 250만 원을 초과할 수 있어요
→ 이 경우 초과분에 대해 22% 세금 발생
2. 목돈이 필요할 때 절세 전략
1. 연도 분할 매도
- 올해 250만 원까지 수익 실현
- 나머지는 내년으로 넘기면 공제 2번 활용 가능
2. 손실 종목과 함께 매도
- 수익 종목과 손실 종목을 동시에 매도하면
→ 손익 통산으로 과세 대상 줄일 수 있음
3. 부부 명의 분산 투자
- 배우자 명의 계좌로 일부 매도하면
→ 각자 250만 원 공제 가능 → 총 500만 원까지 비과세
4. 거래비용 꼼꼼히 반영
- 수수료, 환전비용 등도 필요경비로 공제 가능
- 세금 줄이는 데 도움됨
> 궁금한 내용이 조금이나마 해소되셨다면, 아래 관련 정보도 함께 참고해보시면 도움 되실 수 있어요. image 2025년 소득세 완전정복! 계산부터 절세까지 한 번에 끝내는 가이드”
많은 분들이 연말정산에는 익숙하지만, "소득세 신고"에는 막막함을 느끼곤 합니다. 특히 자영업자, 프리랜서, 임대소득자 분들은 매년 5월만 되면 스트레스가 커지죠. 이 글은 그런 분들을 위해 소득세의 개념부터 계산 방식, 절세 전략까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정리한 실전 가이드입니다. 단순히 이론만 나열하지 않고, 실제 신고에 바로 활용 가능한 정보만 골라 담았습니다.✅ 이 글의 목적본 글은 지식인에서 사람들이 아주 궁금해하는 내용과 자주 묻는 소득세 관련 핵심 질문 10가지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각 주제는 따로 상세 콘텐츠로...
m.site.naver.com
> 더 궁금한 점 있으면 언제든 추가로 질문 주세요. >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도 큰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