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국가들은 축복받아 잘사는데 왜 불교국가들은 후진국에 못사는건가요?
기독교 국가들은 축복받아 잘사는데 왜 불교국가들은 후진국에 못사는건가요?
잘사는데 왜 불교국가들은 후진국에 못사는건가요?
불교국가가 가난한 것이 아니라 정치의 영향을 받습니다.
부처님당시에 불교를 믿었던 나라들이 무수히 많았는데
이 나라의 두 왕인 빔비사라왕과 빠세나디왕은 부처님께 귀의한 신심있는 불제자로 유명하지요.
전쟁을 통해 왕위에 오르고, 수많은 형제들을 살육하고 왕위에 오른
인도의 아쇼까왕은 부처님가르침을 전하는 아라한의 말씀에
크게 뉘우치고 불자가되어 거대한 불교국가를 만들었습니다.
인도통일왕국의 위대한 군주였던 아쇼까왕의 인도는
당시 인도의 국력은 사방에 위세를 떨치는 강대국이었습니다.
불자로 귀의하고 현장법사에게 불경을 가져오라고 명령한 왕이었는데
당시 당나라는 전세계를 통틀어 위대한 강대국이었지요.
이러한 원나라와 청나라는 당시에 약한 나라였을까요?
백제는 화려한 전성기를 부처님의 가르침으로 덮었으며
신라또한 통일신라의 시기를 거쳐 무려 천년이상
자기나라에서 가장 화려하고 강성하고 문화적으로 성숙한 사회를 만들었던 역사가
중세는 과연 강성하고 문화적으로 성숙한 시대였을까요?
신을 앞세워 무참한 살육이 죄의식없이 저질러지던 암흑의 시대였습니다.
기독교와 가톨릭이 가장 절정에 달한 중세시대를
바로 그러한 기독교 가톨릭의 그늘에서 벗어남으로 해서
오늘날도 유럽에서 기독교와 가톨릭은 쇠잔해가고 있으며
교회와 성당은 텅텅비는데 유럽이 발전하는 것이
그러므로 우리들은 이런 역사적인 경험들을 되살려 짚어보면
기독교와 가톨릭을 믿는 나라가 찬란한 시대가 아니라 암흑의 시대를 보냈다는 것도 알게되며
이러한 기독교와 가톨릭의 영향을 벗어나자말자 르네상스와 산업혁명을 이루어냈다는 것을 알게되며
오늘날 유럽에서 교회와 성당이 텅텅비는데도 불구하고 유럽이 발전하는 것도 알게되며
지금의 불교국가들이 어느 정도 어려움을 겪는 것은
르네상스와 산업혁명을 이룬 유럽제국들의 식민지지배의 후유증이 남은 것임을 알수가 있습니다.
그러한 불교의 가르침을 따르는 불자들을이끄는 나라의 정치가들과 사부대중의
종교와 정치는 별개이고 종교와 과학이 별개인 것과 같이 종교와 경제는 별개입니다.
역사적으로 수많은 철학자와 과학자와 의학자 경제학자가 있으나 종교학자라고 불리울 만한 사람은 손으로 꼽을 정도이므로 그들이 경제에 관여할 이유나 소지가 없고 그러한 예도 없습니다.
불교국가가 가난하다 하는 것은 기독교를 두고 하는 말인데 기독교는 유럽의 정치 경제 과학이 발달하는 틈새에 끼어 전파되었을 뿐입니다.
유럽을 키워 온 사람들이 기독교에 매달려 있었다면 오로지 기독교를 전파하고자 한 역사적인 사실이 뚜렸이 있어야 하는데 그렇지는 않은 것입니다.
종교전쟁이 있었으나 기독교인들끼리 치고박고 열심히 싸운 것이고 잘못된 침략전쟁으로 경제발전과는 전혀 관계가 없고 오히려 경제는 피폐해졌고 수많은 사람들이 학살되었을 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