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a계좌 매도 세금 제가 kodex 미국나스닥100을 180주를 가지고있었는데 17만원정도의 이익을 보고 매도를 하였습니다.
제가 kodex 미국나스닥100을 180주를 가지고있었는데 17만원정도의 이익을 보고 매도를 하였습니다. 근데 세금을 2만5천원을 떼더라고요. 지금 isa계좌 유지한지는 2개월정도 됐고 isa계좌 내에서 매도를 한건데 왜 세금이 발생되는지 이해가 안됩니다. 해지도 안됐고 만기도 안됐습니다. 그럼 제가 3년이 만기인데 만기 될 때는 세금이 발생하지 않나요?그리고 중도매도했다고 세금이 발생하면 kodex 미국나스닥 100은 isa계좌로 운용하는 의미가 없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ISA 계좌로 운용 중인 KODEX 미국나스닥100 ETF 매도 후 세금이 발생해서 당황하신 질문자님.
저도 ISA 계좌 운용하면서 헷갈렸던 부분이라 그 마음 정말 이해합니다.
제 경험상 이렇게 정리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ISA 계좌에서 ETF 매도 시 세금이 바로 부과된 이유
ISA 계좌 내에서 발생한 수익에 대해 ‘즉시 과세’가 되는 건 아닙니다.
그런데 국내 상장 ETF의 경우, 매도할 때 ‘분배소득세’ 또는 ‘기타소득세’가 원천징수될 수 있어요.
→ KODEX 미국나스닥100처럼 해외지수를 추종하는 국내 상장 ETF는
매도 차익이 생기면 기타소득으로 분류돼 15.4% 세금이 자동 원천징수됩니다.
✅ 즉, ISA라고 해도 일부 과세는 매도 시점에서 자동으로 빠져나가는 구조예요.
하지만 이건 ISA 전체의 세금 혜택과는 별개로, ETF 자체 구조에서 발생하는 과세입니다.
2. ISA 계좌 만기 시에는 세금 정산이 따로 이뤄집니다
ISA는 계좌 내 전체 수익 중 200만원(서민형은 400만원)까지 비과세,
따라서 지금 원천징수된 2만5천원도, 만기 시 정산 과정에서 환급 대상이 될 수도 있어요.
이미 납부한 세금과 비교해서 차액을 환급하거나 추가 납부가 결정됩니다.
3. 그럼 KODEX 미국나스닥100을 ISA로 굴리는 의미가 없는 건가요?
아닙니다. ISA 계좌의 실질 혜택은 '최종 정산'에서 발생합니다.
중도에 매도하더라도, 계좌 내 자산 전체 기준으로 세금을 재정산하므로
다른 종목에서 손실이 났다면 세금 상계 가능,
최종적으로 200만원 비과세, 초과분 9.9% 저율이라는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만기 시점에서 계좌 전체 수익 기준으로 재정산
있음. 전체 수익 기준 정산되므로 실효세율 낮출 수 있음
더 자세한 ISA 운용 전략과 ETF 과세 구조는 블로그에 정리해 두었어요.
[관련 정보 보러가기]: https://jonggon.com
위 내용은 아래 블로그를 직접 검색하여 일부 내용을 말씀드렸습니다.
더 궁금한 관련 정보는 아래 블로그를 참고하세요.
[관련 정보 보러가기]: https://pos002.jonggo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