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주식 환전해서 사는거랑 한국껄로 사는거랑 차이점이 있나요? 한국투자 앱을 사용하는데 해외주식을 구매할려면 계좌만들고 환전까지 해야된다는데 제가 한국껄로
한국투자 앱을 사용하는데 해외주식을 구매할려면 계좌만들고 환전까지 해야된다는데 제가 한국껄로 타이거 s&p만 소량씩 사고있는데 환전해서 미국껄로 사야되는걸까요??차이점, 장단점 조언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좋은 질문이에요! 해외주식 처음 시작하실 때 가장 많이 헷갈리는 부분이
“미국주식을 직접 사는 것” vs “국내 상장 해외ETF(TIGER S&P500 등) 사는 것”의 차이예요.
### 1️⃣ 미국주식 직접 매수 (환전 필요)
- **방식**: 원화를 달러로 환전 → 해외주식 계좌에서 직접 매수
- 실제 미국에 상장된 애플, 테슬라, 구글 같은 종목을 그대로 보유
- 매매차익 → 연간 250만원 초과분에 대해 22% 과세 (양도소득세, 직접 신고)
- 배당 → 현지 세금(미국 15%) 원천징수, 한국에서 추가 과세 가능
- 매매차익 신고·납부를 본인이 직접 해야 함 (조금 번거로움)
### 2️⃣ 한국 상장 ETF (예: TIGER S&P500)
- **방식**: 원화 그대로 국내 증권계좌에서 매수
- 미국 지수를 추종하는 ETF (예: S&P500, 나스닥100)
- 매매차익 → 국내 상장 ETF는 주식처럼 과세 안 함 (소액투자자는 양도세 없음)
- 미국 주식을 직접 가진 게 아니라, ‘추종 상품’을 가진 것
- 추종 오차(tracking error), 운용보수 발생
- **미국 개별 기업에 직접 투자하고 싶다** → 환전해서 미국주식 매수
- **세금·환전·신고 복잡한 건 피하고 싶다** → 한국 상장 해외ETF 매수
- **장기 투자 + 간단한 방법 선호** → TIGER S&P500 같은 ETF가 편리
질문자님이 지금 소액으로 TIGER S&P500을 투자 중이시라면, 세금·환전 걱정 없이 투자하기 좋은 방식이에요.
반대로, 특정 미국 기업에 직접 투자하고 싶으시다면 환전 후 미국주식을 사야 하고요.
정리하면, **ETF = 쉽고 간단**, **직접 매수 = 더 다양하지만 관리 번거로움** 이렇게 보시면 됩니다
https://m.site.naver.com/1QizI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미국 주식 세금 배당소득세 신고 방법
해외주식 투자, 세금까지 제대로 알고 계신가요? 연간 수익이 250만 원을 넘으면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22%가 부과되고, 미국 주식 배당금에는 15% 배당소득세가 원천징수됩니다. 여기에 금융소득이 2천만 원을 초과하면 종합과세 대상이 되어 세금 부담이 급격히 늘어납니다. 신고 방법을 몰라 가산세까지 내는 경우도 적지 않죠. 이번 글에서는 해외주식 양도소득세·미국 주식 세금·배당소득세·신고 방법을 최신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 지금 확인하지 않으면 불필요한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