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연기 제가 입시를 그만하고 매체를 준비중인데 독학으로 준비중이거든요…(당장은 힘든거 알아요! 여유가

제가 입시를 그만하고 매체를 준비중인데 독학으로 준비중이거든요…(당장은 힘든거 알아요! 여유가 되면 학원도 알아볼려구요..)근데 입시때 하던 당일대사 분석법이 머리에 박혀있는데 그것말고 매체 오디션때 쓸 수 있는 독백은 어떤식으로 분석하고 연습해야하는지를 잘 모르겠어요 당일대사 할때는 주된 감정이 뭔지, 상대방이 어떤 말을 했을지 상상해서 적어두고, 서브텍스트 적고, 상황이 뭔지 상상해서 지어내기, 내 반응이 어디서 어떻게 다르게 나오는지를 적어두긴했어요.. 매체도 그냥 똑같이 하면 되는건가요..? 알려주세요 ㅠㅠㅠ
입시를 그만두고 매체 연기 쪽으로 준비하고 계시는군요. 독학으로 시작하시는 만큼, 어떤 방향으로 준비해야 할지 고민이 많으실 것 같아요.
말씀하신 당일대사 분석법은 매체 오디션 독백을 준비할 때도 매우 유효하고 핵심적인 방법입니다! 기본적으로 연기를 분석하고 표현하는 데 필요한 요소들은 매체 연기에서도 똑같이 중요해요.
질문자님께서 하시던 분석법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매체 연기에 큰 도움이 됩니다.
* 주된 감정, 서브텍스트: 캐릭터의 내면과 동기를 이해하는 기본이죠.
* 상대방의 말, 상황 상상: 독백이지만 마치 상대와 대화하는 것처럼 생생하게 연기하기 위한 필수 과정입니다.
* 반응의 변화: 감정의 흐름과 변화를 섬세하게 표현하는 데 중요해요.
이 기본 분석에 더하여, 매체 연기 오디션을 위해 몇 가지 추가로 고려하고 연습하시면 더욱 좋습니다.
1 캐릭터 배경과 전사 심화: 독백 대사 하나만 보지 않고, 캐릭터가 이 대사를 하기까지 어떤 삶을 살아왔는지, 어떤 사건들을 겪었는지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상상해 보세요. 대사에 담기지 않은 숨겨진 이야기가 깊이를 더합니다.
2 작품의 전체적인 톤 앤 매너 파악: 만약 오디션 대사가 어떤 작품(드라마, 영화)의 일부라면, 그 작품의 장르, 분위기, 연출 스타일을 파악하여 연기의 톤을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카메라 앞에서 '안' 하는 연기 연습: 매체 연기는 과장된 연기보다는 미묘한 표정 변화, 눈빛, 목소리 톤 등 절제된 감정 표현이 중요해요. 거울보다는 휴대폰으로 직접 촬영하면서 연기를 모니터링해보세요.
* 시선 처리 (아이 컨택, 시선 방향)
* 몸의 움직임 최소화 속 감정 표현
* 대사 속도와 호흡 조절
4 다양한 의도와 목적을 가지고 연습: 같은 독백이라도 "상대방을 설득하려 한다", "화해를 요청한다", "비난한다" 등 매번 다른 의도와 목적을 설정하고 연습하면 표현의 폭이 넓어집니다.
지금 하고 계시는 분석법은 정말 훌륭한 기본기를 갖추고 있으니, 매체의 특성인 '절제되고 섬세한' 표현에 초점을 맞춰 연습하시면 좋은 결과가 있을 거예요!
질문하기